상세검색
최근 검색어 전체 삭제
다국어입력
즐겨찾기0
커버이미지 없음
KCI우수등재 학술저널

농촌관광 참여자의 웰니스 인식이 주관적 행복감에 미치는 영향

회복환경지각과 회복경험의 매개효과 검증

세계적으로 건강추구형 관광이 증가하고 있다. 따라서 농촌 환경을 이용한 관광개발이 지속적으로 이루어지고 있다. 이에 이 연구에서는 농촌환경이 건강추구형 관광목적지로 타당한지에 대해서 실증분석의 연구결과를 통해 확인하고자 하였다. 분석결과, 농촌관광 참여자의 웰니스 인식이 높을수록 농촌관광활동을 통해 궁극적으로는 주관적 행복감이 향상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구체적으로 웰니식 인식은 회복환경지각, 주관적 행복감, 회복경험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고, 회복환경지각은 회복경험과 주관적 행복감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고, 회복환경지각은 주관적 행복감보다는 회복경험에 큰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회복경험도 주관적 행복감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추가적으로 웰니스 인식이 주관적행복감에 미치는 영향관계에서 회복환경지각과 회복경험이 매개역할을 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농촌 환경을 이용한 건강추구형 관광에 대한 관심과 더불어 개발시도가 활발하게 이루어지고 있다.

Health-seeking tourism is on the increase worldwide. Therefore, tourism development using the rural environment is continuing. This study attempted to confirm whether the rural community is valid as a health-seeking tourism destination. It was found that wellness perception held by rural tourists ultimately improves subjective happiness through rural tourism activities. Specifically wellness perception had significant effects on perceived restorativeness environment, subjective happiness, and recovery experience. Perceived restorativeness environment had significant effects on recovery experience and subjective happiness. It was found that perceived restorativeness environment had a greater effects on the recovery experience than subjective happiness. Recovery experience had significant effects on subjective happiness. Also, it was found that the perceived restorativeness environment and recovery experience significantly mediated the relationship between wellness perception and subjective happiness. Therefore, this study confirmed that a rural community is a valid place for healing tourism.

Ⅰ. 서론

Ⅱ. 이론적 고찰

Ⅲ. 연구방법

Ⅳ. 분석결과

Ⅴ. 결론

참고문헌

로딩중